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 윈도우 7, 서버 2008의 기술 지원이 2020년 1월 14일자로 종료됨에 따라 종료일을 200일 앞두고 지난 6월 28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신규 보안 취약점 및 오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최신 윈도우 제품으로의 업데이트와 대체 운영체제로 교체하는 것을 권고했다.
[ 그림 1 ] KISA 윈도우 7, 서버 2008 기술 지원 종료 권고 화면
윈도우 7, 서버 2008의 기술 지원 종료는 윈도우 7, 서버 2008에 대한 신규 보안 취약점 및 오류 개선을 지원하는 보안 업데이트 제공이 중단됨을 의미하며, 기술 지원 종료 이후 윈도우 7, 서버 2008에서 신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어 해커가 악용한다면 이용자는 그 피해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 밖에 없다.
2009년 출시된 윈도우 7은 올해로 10년 된 오래된 운영체제다. MS는 2011년 2월 22일 윈도우 7 서비스팩1 배포 이후 2015년 1월 13일에는 5년의 일반지원을 종료하고, 추가 5년의 연장지원을 제공해왔다. 이 연장지원이 2020년 1월 14일이면 끝나게 되는 것이다.
단, 일반 기업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호환성 등의 이유로 업데이트에 보수적으로 대응할 수 도 있기 때문에 MS는 윈도우 7의 공식 기술 지원이 종료된 이후 3년 간 유료 지원 기간을 두기로 결정했다. 발표에 따르면 윈도우 7의 공식 지원은 오는 2020년 1월14일 종료하지만, 2023년 1월까지 유료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그에 따라 공식지원 종료 이후에도 윈도우 7을 계속 이용해야 하는 경우 MS에 매달 비용을 지불하고 보안 및 업그레이드 지원(ESU) 을 받을 수 있다.
윈도우 운영체제별 점유율
국내 윈도우 7 운영체제 이용 PC는 29.63% 정도로 글로벌 통계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지만 여전히 높은 점유율(5월 기준 29.6%, statcounter)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Region |
Win10 |
Win7 |
Win8.1 |
WinXP |
Win8 |
WinVista |
Worldwide |
56.48% |
33.59% |
5.78% |
1.81% |
1.75% |
0.54% |
Korea |
65.48% |
29.63% |
3.58% |
0.65% |
0.58% |
0.06% |
[ 표 1 ] Worldwide VS Korea 윈도우 운영체제별 점유율
[ 그림 2 ] 국내 윈도우 운영체제별 점유율 그래프
예정된 윈도우 지원 종료일
그렇다면 MS의 다른 운영체제의 지원 종료 예정일은 어떤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MS가 제공하는 윈도우 제품 수명주기와 일정 등을 공개한 페이지의 자료를 보면 윈도우 10의 기술지원 종료는 2020년 10월 13일이며 연장 지원 종료는 2025년 10월 14일이다.
운영체제 | 일반지원 종료 | 연장지원 종료 |
Windows 10 |
2020년 10월 13일 |
2025년 10월 14일 |
Windows 7 SP1 |
2015년 1월 13일 |
2020년 1월 14일 |
Windows 8.1 |
2018년 1월 9일 |
2023년 1월 10일 |
[ 표 2 ] 윈도우 운영체제별 지원종료 예정일
우리는 이미 지난 2014년 윈도우XP 기술지원 종료 당시 정부 차원에서 MS와 협상을 진행하고, 대외 캠페인을 벌일 정도로 큰 혼란을 경험한 바가 있다. 내년 초 윈도우 7 기술지원 종료 시점에도 비슷한 상황이 연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되며 각 기업의 담당자들은 보안 규제 준수를 위해서라도 마이그레이션 계획을 준비하고 적극적으로 대응을 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https://www.krcert.or.kr/data/secNoticeView.do?bulletin_writing_sequence=35071
http://gs.statcounter.com/windows-version-market-share/desktop/south-korea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13853/windows-lifecycle-fact-sheet
Security Operation Center MIR T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