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동향

최신 보안정보를 신속하게 전해드립니다.

MS 9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2019-09-11

MS 9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본문서는 KISA 인터넷침해대응센터 보안공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9월 보안 업데이트 개요(총 15종)

 o 등급 : 긴급(Critical) 10 종, 중요(Important) 5 종

 o 발표일 : 2019.9.11.(수)

 o 업데이트 내용

제품군

중요도

영향

KB번호

Windows 10, Server 2019, Server 2016, Edge

긴급

원격코드실행

4516044 등 8개

Windows 8.1, Server 2012 R2

긴급

원격코드실행

4516067 등 2개

Windows Server 2012

긴급

원격코드실행

4516055 등 2개

Windows RT 8.1

긴급

원격코드실행

4516067

Windows 7, Server 2008 R2

긴급

원격코드실행

4516065 등 2개

Windows Server 2008

긴급

원격코드실행

4516026 등 2개

Internet Explorer

긴급

원격코드실행

4516065 등 15개

ChakraCore

긴급

원격코드실행

-

Office

중요

원격코드실행

4475574 등 6개

Visual Studio

중요

권한상승

4513696

SharePoint Server, SharePoint Enterprise Server

긴급

원격코드실행

4484098 등 10개

Lync

중요

정보노출

4515509

Exchange Server

중요

서비스거부

4515832

.NET Core

중요

권한상승

4514604 등 15개

Adobe Flash Player

긴급

원격코드실행

4516115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portal.msrc.microsoft.com/ko-kr/security-guidance

- 영문 : https://portal.msrc.microsoft.com/en-us/security-guidance

 

  1. Windows 10, Server 2019, Server 2016, Edg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0787,CVE-2019-0788,CVE-2019-1138,CVE-2019-1217,CVE-2019-1237,CVE-2019-1240,CVE-2019-1241,CVE-2019-1242,CVE-2019-1243,CVE-2019-1247,CVE-2019-1248,CVE-2019-1249,CVE-2019-1250,CVE-2019-1280,CVE-2019-1290,CVE-2019-1291,CVE-2019-1298,CVE-2019-1300)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214,CVE-2019-1215,CVE-2019-1232,CVE-2019-1235,CVE-2019-1253,CVE-2019-1256,CVE-2019-1267,CVE-2019-1268,CVE-2019-1269,CVE-2019-1270,CVE-2019-1271,CVE-2019-1272,CVE-2019-1277,CVE-2019-1278,CVE-2019-1285,CVE-2019-1287,CVE-2019-1289)
  -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9-0928,CVE-2019-1292)
  -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CVE-2019-1220,CVE-2019-1264)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216,CVE-2019-1219,CVE-2019-1244,CVE-2019-1245,CVE-2019-1251,CVE-2019-1252,CVE-2019-1274,CVE-2019-1282,CVE-2019-1286,CVE-2019-1299)
  - DID 취약점(CVE-2019-1273)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516044, 4516070, 4516068, 4516066, 4516058, 4512578, 4515384, 4475589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 Windows 8.1,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0787,CVE-2019-0788,CVE-2019-1240,CVE-2019-1242,CVE-2019-1243,CVE-2019-1246,CVE-2019-1247,CVE-2019-1248,CVE-2019-1249,CVE-2019-1250,CVE-2019-1280,CVE-2019-1290,CVE-2019-1291)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214,CVE-2019-1215,CVE-2019-1235,CVE-2019-1267,CVE-2019-1268,CVE-2019-1269,CVE-2019-1271,CVE-2019-1285,CVE-2019-1287)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216,CVE-2019-1219,CVE-2019-1244,CVE-2019-1245,CVE-2019-1252,CVE-2019-1274,CVE-2019-1282,CVE-2019-1286,CVE-2019-1293)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516067, 4516064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240,CVE-2019-1242,CVE-2019-1243,CVE-2019-1248,CVE-2019-1249,CVE-2019-1250,CVE-2019-1280)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214,CVE-2019-1215,CVE-2019-1235,CVE-2019-1268,CVE-2019-1271,CVE-2019-1285,CVE-2019-1287)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216,CVE-2019-1219,CVE-2019-1244,CVE-2019-1245,CVE-2019-1252,CVE-2019-1274,CVE-2019-1282,CVE-2019-1286)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516055, 4516062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 Windows RT 8.1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0787,CVE-2019-0788,CVE-2019-1242,CVE-2019-1243,CVE-2019-1247,CVE-2019-1248,CVE-2019-1249,CVE-2019-1250,CVE-2019-1280,CVE-2019-1290,CVE-2019-1291)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214,CVE-2019-1215,CVE-2019-1235,CVE-2019-1268,CVE-2019-1269,CVE-2019-1271,CVE-2019-1285,CVE-2019-1287)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216,CVE-2019-1219,CVE-2019-1244,CVE-2019-1245,CVE-2019-1252,CVE-2019-1274,CVE-2019-1282,CVE-2019-1286)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516067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 Windows 7,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0787,CVE-2019-1240,CVE-2019-1242,CVE-2019-1243,CVE-2019-1246,CVE-2019-1247,CVE-2019-1248,CVE-2019-1249,CVE-2019-1250,CVE-2019-1280,CVE-2019-1290,CVE-2019-1291)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214,CVE-2019-1215,CVE-2019-1235,CVE-2019-1267,CVE-2019-1268,CVE-2019-1271,CVE-2019-1284,CVE-2019-1285)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216,CVE-2019-1219,CVE-2019-1244,CVE-2019-1245,CVE-2019-1252,CVE-2019-1274,CVE-2019-1282,CVE-2019-1283,CVE-2019-1286,CVE-2019-1293)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516065, 4516033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 Windows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240,CVE-2019-1242,CVE-2019-1243,CVE-2019-1246,CVE-2019-1248,CVE-2019-1249,CVE-2019-1250,CVE-2019-1280,CVE-2019-1291)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214,CVE-2019-1215,CVE-2019-1235,CVE-2019-1268,CVE-2019-1271,CVE-2019-1284,CVE-2019-1285)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219,CVE-2019-1244,CVE-2019-1245,CVE-2019-1252,CVE-2019-1274,CVE-2019-1282,CVE-2019-1286)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516026, 4516051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208,CVE-2019-1221,CVE-2019-1236)

-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CVE-2019-1220)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516065, 4516046, 4516067, 4516046, 4516044, 4516070, 4516068, 4516066, 4516058, 4512578, 4515384, 4516055, 4516046, 4516026, 4516046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 ChakraCor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 ChakraCore : Edg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 Cloud, 게임엔진, IoT 등에서도 사용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138,CVE-2019-1217,CVE-2019-1237,CVE-2019-1298)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 Offic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문서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297)

-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CVE-2019-1264)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263)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75574, 4475579, 4475566, 4475607, 4475583, 4464566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 Visual Studio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프로그램 버그(실행 처리 구문의 허점 등)을 악용하여 보호되는 자원들에 임의로 접근하는 권한상승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232)

 

 o 영향 : 권한상승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513696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 SharePoint Server, SharePoint Enterprise Serv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문서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257,CVE-2019-1296)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260)

- DID 취약점(CVE-2019-1259,CVE-2019-1261,CVE-2019-1262)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484098, 4475590, 4475605, 4475596, 4484098, 4484099, 4475590, 4475594, 4475596, 4464557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 Lync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프로그램의 미흡한 설계(적절한 검증 부재)를 악용하여 제한된 자원에 접근가능한 정보노출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209)

 

 o 영향 : 정보노출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515509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 Exchange Serv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시스템의 자원을 고갈시켜 발생하는 서비스거부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9-1233)

- DID 취약점(CVE-2019-1266)

 

o 영향 : 서비스거부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515832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 .NET Cor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프로그램 버그(실행 처리 구문의 허점 등)을 악용하여 보호되는 자원들에 임의로 접근하는 권한상승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142)

 

 o 영향 : 권한상승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514604, 4514599, 4514603, 4514598, 4516044, 4516070, 4516068, 4516066, 4516058, 4514354, 4514355, 4514356, 4514357, 4514601, 4514359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지원되는 모든 버전의 Windows 8.1, Windows Server 2012, Windows Server 2012 R2, Windows RT 8.1, Windows 10 및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해결

 

 o 관련취약점 :

- Adobe 보안 업데이트 APSB19-46 설명된 취약점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516115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