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o 최근, 휴대폰 소액결제 피해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어 해당 사건 등 사회적 이슈를 악용한 스미싱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개인정보 탈취 및 금전피해로 연계되지 않도록 사용자 주의 필요
□ 주요내용
o “환불”, “피해보상” 등 키워드를 활용한 결제 대행업체 및 분쟁조정기관을 사칭한 스미싱 유포가 예상됨에 따라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 필요
- 휴대폰 소액결제 피해에 따른 피해구제 절차 명목으로, 피해 관련 문자·결재 내역 등을 요구하면서 개인정보 등 민감정보 탈취 시도
- 소액결제 피해사실 확인 및 조회를 빌미로 악성앱 설치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휴대폰의 주요권한을 탈취하여 휴대폰 소액결제 등 금전피해 발생
□ 대응방안
o 스미싱 악성앱에 의한 휴대폰 주요권한 탈취 시 지속적인 금전피해 발생이 가능한만큼 휴대폰 결제내역 확인 및 소액결재 미사용 시 소액결제 차단·해지 신청 필요
- 공격자는 악성앱에 감염된 휴대폰에 대해 지속적인 금전탈취 시도를 수행함에 따라 악성앱이 제거되기 전까지 피해자가 의심하지 않는 소액으로 지속적인 결제 시도
[ 휴대폰 소액결제 피해 이용자 주의 사항]
o (피해환불 사칭 주의) 결제대행사(PG)나 분쟁조정기관 등을 사칭하여 결제 취소나 환불을 진행해주겠다는 문자 및 전화에도 절대 승인번호를 입력·제공해서는 안됩니다.
o (소액결제 피해 예방) 이통사별 전용앱(마이케이티, T월드, 당신의 U+)을 통한 휴대폰 소액결제 내역을 확인하고, 소액결제 미사용 시 소액결제 사용을 차단·해지합니다.
※ PASS앱 전체메뉴중 ‘휴대폰결제’ 기능을 통한 결제내역도 확인 필요
o (피해사실 확인 및 신고) 소액결제 피해 사실을 인지한 경우 이통사 및 결제회사를 통해 피해사실을 고지하여 피해환불을 요청하고, 일정 시일이 지난 경우 경찰에 피해사실을 신고하여야합니다.
o 스미싱 문자 신고 및 확인 방법
- 스마트폰 내 문자 수신 화면에서 확인가능한 ‘스팸으로 신고’
- 보이스피싱통합신고대응센터 내 ‘스미싱 문자메세지 차단 신고하기’
- 보호나라(카카오톡 채널) 내 ‘스미싱 확인서비스’를 이용하여 신고 및 악성여부 판별
o 스미싱 문자 예방 방법
- 문자 수신 시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주소는 클릭을 자제하고 바로 삭제
- 의심되는 사이트 주소의 경우 정상 사이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피해 예방
- 휴대폰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는 신뢰된 사이트에만 입력하고 인증번호의 경우 모바일 결제로 연계될 수 있으므로 한 번 더 확인
- 정부기관 및 금융회사인 경우, 전화나 문자 등을 통해 원격제어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음
* 정상스토어에 등록된 앱인 경우도 포함
o 번호 도용 문자 발송 차단
- 악성앱 감염 및 피싱 사이트를 통한 정보 유출이 의심되는 경우, 스미싱 문자 재발송을 위해 피해자 번호가 도용될 수 있으므로 “번호도용문자차단서비스*”를 신청하여 번호 도용 차단
* 이동통신사별 부가서비스 항목에서 무료로 신청 가능
o 모바일 결제 확인 및 취소
- 스미싱 악성앱 감염 및 피싱사이트 개인 정보 입력 시 모바일 결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결제 내역 확인
①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하여 모바일 결제 내역 확인
② 모바일 결제 피해가 확인되면 피해가 의심되는 스미싱 문자 캡처
③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스미싱 피해 신고 및 소액결제확인서 발급
④ 소액결제확인서를 지참하여 관할 경찰서 사이버수사대 또는 민원실을 방문하여 사고 내역 신고
⑤ 사고 내역을 확인받고 사건사고 사실 확인서 발급
⑥ 사건사고 사실 확인서 등 필요서류를 지참하여 통신사 고객센터 방문 또는 팩스나 전자우편 발송
⑦ 통신사나 결제대행 업체에 사실 및 피해 내역 확인 후 피해보상 요구
o 악성어플리케이션 삭제
-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인터넷주소를 클릭한 것만으로는 악성 앱에 감염되지 않으나 인터넷주소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했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스마트폰 점검
① 모바일 백신으로 악성 앱 삭제하기
② 악성앱 수동 삭제하기
③ 서비스센터 방문
o 공인인증서 폐기 및 재발급하기
- 악성 앱에 감염되었던 스마트폰으로 금융서비스를 이용했다면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등 금융거래에 필요한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 정보를 폐기하고 재발급
o 2차 피해 예방하기
- 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앱이 주소록을 조회하여 다른 사람에게 유사한 내용의 스미싱을 발송하는 등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변 지인에게 스미싱 피해 사실을 알려야 함
□ 기타 문의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 : 국번없이 118